매출총이익이란?
공식 |
매출총이익 = 매출액 - 매출원가 |
'매출액에서 상품을 만드는데 사용된 원재료와 노동비용, 제품구입비용 빼고 제하고 얼마나 돈을 벌었는가?'
매출총이익을 구할 때 매출액에서 차감하는 매출원가는 매출이 발생한 제품의 제조원가를 의미한다.
주의할 점은 매출원가와 제조원가를 구분해야한다.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라는 말에서 혼동이 될 수 있는데, 제품(상품)을 생산(취득)할 때 발생한 원가는 제조원가 혹은 취득원가이다.
매출원가와 제조원가를 비교해보고, 매출총이익을 계산해보자.
ex)
드라이기 10개 생산 | 드라이기 5개 판매 |
1개 당 제조원가: 5만원 | 1개 당 제조원가: 5만원 |
총 제조원가 : 5만원 * 10= 50만원 | 총 매출원가 : 5만원 * 5 =25만원 |
드라이기 10개를 생산했다. 이때, 드라기이 1개를 만드는데 5만원이 들었다고하자.
총 제조원가= 5만원 * 10 = 50만원
이 드라이기의 판매가는 10만원이다. 드라이기가 판매가에 6개 팔렸다면
총매출액= 10만원 * 6 = 60만원
그럼 매출원가는 얼마인가?
매출원가= 6개(판매됨) * 5만원 = 30만원
▶ 이제 매출총이익은 구할 수 있게 되었다.
매출총이익 = 총 매출액 - 매출원가
매출총이이은 손익계산서 상에서 최초로 얻어지는 이익이다.
매출총이익률이란?
공식 |
매출총이익률 = 매출총이익/매출액 * 100 |
'매출총이익률은매출로부터 얼마만큼의 이익을 얻느냐를 측정하는 수익성 지표'
삼성전자의 2020년 3분기분기보고서의 재무제표이다.
제 52기 3분기 매출총이익률은 어떻게되는가?
14,338,642(매출총이익)/47,801,234(매출액) * 100 =약 29.9%
◆ 매출총이익률의 활용
매출총이익=매출액-매출원가이므로
매출액이 커지면 매출총이익이 증가하고, 매출원가가 커지면 매출총이익이 감소하게된다.
투자자는 매출총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을 찾고싶다. 위에서 보았듯, 매출액= 매출단가 * 수량이다.
매출액이 늘어나려면 3가지 경우가 있다.매출단가가 상승하거나, 판매량이 증가하거나, 매출단가와 판매량 두가지 다 증가하는 경우이다.
예를들어 매출원가가 일정한데 제품의 수요증가와 같은 이벤트가 있다면 매출액이 증가하게 된다. 반대로 원재료 가격상승과 같은 이유로 매출원가가 증가하게된다면 매출총이익은 줄어들게 된다.
매출총이익률은 어떻게될까?
매출총이이률의 공식을 보자.
공식 |
매출총이익률 = 매출총이익/매출액 * 100 |
분자인 매출총이익이 늘어나야 매출총이익률도 증가한다.
분자인 매출총이익이 늘어나려면 매출액이 증가하여야 한다. (매출총이익=총매출액-매출원가)
그런데, 매출원가는 매출이 발생한 제품의 제조원가이다. 즉, 매출이 상승하면 필연적으로 매출원가도 함께 증가할 수 밖에 없다. 또한 매출총이익률 공식에서 매출액은 분모값에 위치한다.
따라서 매출총이익률이 증가할 수 있는 요인은 매출원가에 있다.
매출액이 변하지 않아도 매출원가를 줄인다면 매출원가의 감소는 매출총이익과 매출이익률의 증가를 만든다.
즉, 매출총이익률은 원가관리의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.
예시와 함께 적용해보자
ex) 드라이기를 파는 도이슨과 처이슨이 있다.
기업 | 도이슨 | 처이슨 |
제조원가 | 1개당 30만원 | 1개당 10만원 |
판매가 | 1개당 50만원 | 1개당 50만원 |
판매량 | 1000대 | 1000대 |
매출액 | 50만원*1000대 =5억원 |
50만원*1000대 =5억원 |
매출원가 | 30만원*1000대 =3억원 |
10*1000대 =1억원 |
매출총이익 | 5억원-3억원=2억원 | 5억원-1억원=4억원 |
매출총이익률 | 2/5*100 =40% | 4/5*100=80% |
판매가, 판매량, 매출액이 같지만 제조원가의 차이로 인해
매출원가, 매출총이익, 매출총이익률이 달라지는 것이다.
그만큼 처이슨 드라이기 회사가 원가관리가 효율적이었다는 것을 매출총이익률을 통해 알 수있다.
이와같이 투자자들은 매출총이익률을 보고 같은 업종과 같은 매출액의 기업이 있다면, 좀 더 경쟁력있는 기업을 판단 할 수 있다.즉, 같은 산업 내 경쟁기업을 비교할때는 매출총이익률이 높은 기업이 더 경쟁력있고, 매출총이익률이 매년 하락하고 있는 기업보다 상승하는 기업이 좋다고 판단 할 수 있다.
주의! 매출총이익률에 있어서 핵심요소인 매출원가는 기업 고유의 제조활동에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로 비교하기 어렵다.
-끝-
'주식 > 기초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시장 시간 외 거래방법 (2) | 2020.12.08 |
---|---|
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 주식 용어 정리 (0) | 2020.12.08 |
PBR, ROE 주식 용어 정리 (0) | 2020.12.03 |
EV/EVITDA와 EVITDA마진율 주식 용어 정리 (2) | 2020.12.02 |
EPS와 PER 주식 용어 정리 (0) | 2020.12.01 |